즐겁게 개발을...

개발보다 게임이 더 많이 올라오는 것 같은...

분류 전체보기 271

[2022.01] Redmine 4.2를 Docker로 운용하기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 올립니다. 아래 글은 최근(오늘^^) 엔조이데브에 등록된 글인데, 경어체를 사용하였으니 양해 부탁드려요. 필자는 Postgresql이 미리 Docker로 실행되어 있어서 redmine이라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 후, 진행하였다. 리눅스는 CentOS7을 사용하였으며, Home디렉토리에 redmine폴더를 생성한 후, 들어가자. 구글에서 "Redmine Docker"로 검색하여 나온 레드마인 공식 Docker 홈페이지에서 Bullseye기반으로 동작하는 것을 찾아 실행하였다. 공식 레드마인 Docker Hub페이지: https://hub.docker.com/_/redmine Redmine - Official Image | Docker Hub Quick reference Suppor..

[2021.10] XtraGrid 특정 Row의 컬럼 값 편집 여부를 설정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올립니다. 엑셀처럼 편집이 가능한 그리드를 구현하고자 하는데 특정 Row의 특정 컬럼만 에디트를 가능하게 하거나 혹은 불가능하게 할 경우 아래 "ShowingEditor"이벤트에서 구현하시면 됩니다. private bool USCanada(GridView view, int row) { GridColumn col = view.Columns["Country"]; string val = Convert.ToString(view.GetRowCellValue(row, col)); return (val == "USA" || val == "Canada"); } // disable editing private void gridView1_ShowingEditor(object sender, System..

[2021.09] fo-DICOM Log4Net 사용방법

안녕하세요. 제가 의료기기 쪽 IT 솔루션을 개발하다보니 fo-DICOM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데 Logger연동이 쉽지 않아서 작성해봅니다. 2016년 이슈가 떴으면 제대로 문서화를 해놓을 것이지 공식 홈페이지에는 존재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보통 Log4Net Config 파일은 Properties/AssemblyInfo.cs 맨 끝에 넣는 것이 일반적인데, fo-DICOM의 Log4Net 인터페이스가 그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버그(이슈)가 있습니다. 그래서 다음 코드를 프로젝트 Root에 있는 App.Config파일에 추가합니다. 그리고 Program.cs 도입부분에 다음 코드를 추가합니다. Dicom.Log.LogManager.SetImplementation(Dicom.Log.Log4NetMana..

개발/C# 2021.09.06

[2021.09] 입력문자가 어떤 언어인지 분별해주는 함수

안녕하세요! 입력된 문자가 어느나라 문자인지 판별하는 함수를 소개합니다. // OneByteChar = 영어 public enum LanguageType { Korean, KoreanJaum, KoreanMoum, Japanese, Chinese, OneByteChar, UnKnown, OverBound } 이렇게 상수 선언합니다. public LanguageType GetLanguageType(string sourceString) { if (sourceString.Length > 2) return LanguageType.OverBound; byte[] _tmp = System.Text.Encoding.Default.GetBytes(sourceString); if (_tmp.Length != 2) ret..

개발/C# 2021.09.04

[2021.08] 시놀로지(Synology) 7.0 업그레이드 경험

(본 글에서는 SSH, Docker 사용법등은 기본적으로 이해한다고 생각하고 글을 적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6.x에서 7.0으로 업그레이드한 경험담을 적어볼까 합니다. 모델은 416Play로 메모리를 업그레이드 하여 8기가로 사용중입니다. 기본적으로 설치되지 않은 Docker를 수동으로 설치하여 사용했었습니다. Gitlab과 Dokuwiki는 패키지에서 설치해서 사용중에 있었습니다. Gitlab은 Docker가 있어야 설치가 됐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런데.. 7.0에서 Gitlab과 Dokuwiki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청천벽력같은 소리로 주저했었는데 오늘 Dokuwiki와 Gitlab 둘다 수동으로 Docker-Compose를 이용해 새로 설치하고 마이그레이션을 했죠. 먼저 제어판에서 터미널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