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겁게 개발을...

개발보다 게임이 더 많이 올라오는 것 같은...

분류 전체보기 271

[잡설] Next.js 13.x 기반으로 다시 가자.

Next.js가 Frontend 위주로 되어 있다하여 Nest.js를 붙여서 개발하다가 이것저것에 치여 포기하고 1주전부터 Next.js로 다시 만들고 있다. 이것저것 프로젝트를 여러번 생성하는 끝에 가닥을 잡았는데 Next.js 13 중 App 라우터 기반으로 개발을 하고 있었다. 버전 12와 13이 너무 많이 바껴서 기존 Next.js + Nest.js 합쳐서 개발했던 소스를 거의 사용하지 못할 정도다. 썩을.. 다 다시 개발에 맨땅에 헤딩하기.. 남들은 다 잘된다고 블로그에 강의를 올려놓았는데 하나하나 벽에 부딪히고 있다. 우선 기술 스펙 중 디테일한 부분은 다 넘어가고 기본만 API만 호출되도록 하려고 하는데 뭐지.. ? 수많은 국내외 블로그, Github을 뒤져서 짜집기를 한터라 아무래도 시리즈..

프로젝트 좀보이드 모드 배포

배포 URL: https://steamcommunity.com/sharedfiles/filedetails/?id=3008693863 Steam Workshop::Damulkhan's Mods steamcommunity.com 소개 - 한글판 모드가 많이 있고, 중복이 되고 일부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 영어로 나오는 부분이 간혹 있어 만들기 시작. - 모드에 한글판 모드를 개별로 만들까? 통합할까 하다가 통합방식으로 진행 > 이 경우 모드 업데이트 시 갱신이 어려움 발생으로 엑셀로 관리 (모드 배포일자도 추가해야 할 것 같다)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sAfmtiq5YlDSBVGlGbLybaHg340Jpl2GLyP51oQ6FBg/edit#gid=0 프로젝트 ..

프로젝트 좀보이드 - Wolf Extraction Quest 모드 한글화

처음으로 한글화 해봤네요. 첫 모딩작 입니다. https://steamcommunity.com/sharedfiles/filedetails/?id=3008490703 스포지만 동영상도 같이 올려봐요. 최종버전이 아닌 테스트 버전입니다. 루이빌 중앙병원으로 걸렸네요. 이건 복붙용 파일입니다. 해당파일을 다음경로에 복사-붙여넣기 해주세요. 스팀경로\steamapps\workshop\content\108600\2987772693\mods\Wolf Extraction Quest\media\lua\shared\Translate\EN 업데이트 일지 2023.09.23 - 2023.09.09 업데이트 분 반영 - KO로 했을 때 반영이 안되서 EN으로 처리되도록 수정

시놀로지에 Mattermost를 운용 중 웹소켓 오류 해결방법

예전에는 이런 오류가 나지 않았었는데 최신 Docker 운용 방법으로 설치를 하고나서 설정 및 접속이 잘되는데 갑자기 브라우저에서 웹 소켓오류가 나는 경우가 있었다. 브라우저 개발콘솔에서는 이런 오류를 뱉는다. 시놀로지 역방향 프록시를 이용해서 외부에서도 접속이 가능하도록 도메인 작업을 진행했는데 아마 이것 때문이었을까? 시놀로지 역방향 프록시를 한번 살펴보자. 여기서 사용자 지정 머리글 탭에서 가서 생성을 눌러보자. 여기 쌩뚱맞게 웹소켓이란게 버젓이 있다. 웹소켓을 눌러보면, 자동으로 2개의 값이 설정된다. 그냥 저장을 누르고 나오면 웹소켓 오류는 그냥 사라진다. 굿!!

싱글 인스턴스로 프로그램 실행하기

지원 Framework: 프레임워크, .Net 6에서 확인함. "싱글 인스턴스가 뭐냐?"라는 질의 보다 이것을 왜 사용했는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아규먼트를 받아서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이미 떠 있는 프로세스에 아규먼트를 전달 할 방법이 뭐가 있을까? 이 방법 이전에는 프로그램이 떠있는지 체크해서 Send Message Win32 API를 통해 아규먼트를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했는데 이 경우 별도의 프로그램을 중간매개로 만들어야 했습니다. C#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program.cs가 자동생성되고 Application.Run(new Form1()); 위 코드를 사용해 폼을 띄웁니다. 프로그램이 시작된 상태에서 다시 실행파일을 실행하면 위 코드를 통해 똑같은 프로그램이 뜨겠죠...

개발/C# 2023.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