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개인차가 있겠지만 CentOS7 기반 개발도구 설치방법을 나열합니다.
1. 커널 업데이트 및 기본 패키지 설치
yum update -y
yum install -y git net-utils wget
2. Docker 설치
# 루트로 실행
su -
yum install -y yum-utils device-mapper-persistent-data lvm2
yum-config-manager --add-repo https://download.docker.com/linux/centos/docker-ce.repo
yum install -y docker-ce
systemctl enable docker
2-1. Remote API 설정
sudo vi /usr/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 ExecStart= 에
-H tcp://0.0.0.0:31000 --ip 0.0.0.0
추가
2-2. 서비스 재시작 후, 사용 계정에 docker 그룹 추가
sudo systemctl daemon-reload
sudo systemctl restart docker
sudo usermod -G sledger,docker,wheel sledger
3. Docker Composer 설치
- 우선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 최신버전 확인해서 아래 버전을 변경해준다.
sudo curl -L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download/1.28.2/docker-compose-$(uname -s)-$(uname -m)" -o /usr/local/bin/docker-compose
sudo chmod +x /usr/local/bin/docker-compose
sudo ln -s /usr/local/bin/docker-compose /usr/bin/docker-compose
4. PlantUML 서버 설치
sudo yum install -y graphviz tomcat tomcat-webapps;
sudo yum install -y git java-1.8.0-openjdk-devel maven;
git clone https://github.com/plantuml/plantuml-server.git;
cd plantuml-server;
mvn package;
4-1. plantuml.war 다운로드
- 이 링크를 클릭하면 5초 후 다운로드 됩니다.
4-2. plantuml.war 복사 및 톰캣서버 시작
- 생성 혹은 다운로드 받은 plantuml.war 파일을 tomcat의 webapps 디렉토리에 복사한 다음 tomcat 서버를 등록하여 실행
sudo cp plantuml.war /var/lib/tomcat/webapps/plantuml.war;
sudo chown tomcat:tomcat /var/lib/tomcat/webapps/plantuml.war;
sudo systemctl enable tomcat;
sudo systemctl start tomcat;
- 이때 외부에서 접근하는데 있어서 firewall의 문제로 접근이 안되는 경우 firewall에서 tomcat의 접속 포트를 개방해야 함. 이때 tomcat의 기본 접속포트는 8080고, 해당 포트번호는 /etc/tomcat/server.xml에서 변경 가능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8080/tcp;
sudo firewall-cmd --reload;
- 상기와 같이 설정을 마친경우 http://192.168.0.40:8080/plantuml 로 접근하여 동작여부를 확인
- GitLab에서 admin 권한이 있을 시에만 적용이 가능. GitLab 의 admin 권한이 있으면, “Admin area -> Settings” 에 PlantUML 항목이 존재하며, 여기서 “Enable PlantUML” 을 활성화 하고 “PlantUML URL” 을 위의 웹 주소 (단, localhost 가 아닌 실제 서버의 도메인 혹은 IP 주소) 로 설정하여 저장하면 활용이 가능하다.
5. NVM 및 Node 설치
wget -q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v0.35.2/install.sh | bash
source ~/.bashrc
nvm install v14
5-1. NVM 기본버전 설정
# 위 설치된 버전에 맞게 아래를 수정하여 실행한다.
nvm use v14.16.1
nvm alias default v14.16.1
node -v
5-2. Node의 유용한 패키지(유틸) 설치
npm install -g yarn pm2
- Yarn : NPM 처럼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
- pm2 : 프로세스 관리 프로그램
반응형
'써드파티 도구 > Linux (CentOS7)'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1] Redmine 4.2를 Docker로 운용하기 (0) | 2022.01.24 |
---|---|
[2021.04] Linux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모듬 (지속 업데이트) (0) | 2021.04.17 |
[2021.03] 윈도우에서 Linux(Gnome) 원격 데스크탑으로 접속하기 (0) | 2021.03.11 |